세계 1위 토요타..전기차 시대에 하이브리드가 발목 잡네
세계 1위 토요타..전기차 시대에 하이브리드가 발목 잡네
  • 조희정
  • 승인 2021.03.29 09:00
  • 조회수 2358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도요다 아키오 회장, 친환경차 정의에 대한 규정을 미디어에 요구

■ 뒤떨어진 일본의 친환경차..의무화된 규제가 없다

미국의 ‘제로 배기가스 차량(ZEV; Zero Emission Vehicle)’과 유럽의 ‘CO2 규제’로 전 세계적으로 환경문제에 대한 경각심이 높아지면서 자동차의 전동화가 가속화한다. 자동차 기업 입장에서는 생존을 가를 심각한 위협 요소다.

미국과 유럽 선진국을 중심으로 진환경차 판매 촉진을 위한 ‘친환경차 판매 총량제’와 같은 규제가 신설되고 있다. 이를 어길 시에는 벌금, 또는 심한 경우에는 판매중지 제재를 받는다. 따라서 자동차 기업들은 울며 겨자 먹기로 기업의 존립을 위해 전동화 차량을 개발할 수 밖에 없다.

현대자동차도 예외는 아니다. 적극적으로 친환경차 시장을 공략하기 위해 ‘아이오닉’이라는 전기차 전용 라인업을 신설하여 대응해오고 있다. 2016년에 ‘아이오닉 일렉트릭’에 이어 ‘코나 일렉트릭’을 출시하였다.

세계 1위 자동차 업체인 토요타는 이런 추세에 동떨어진 느낌이다. 전동화 전략은 사뭇 다른 노선이다. 일본의 경우 토요타가 세계 최초로 개발한 하이브리드 보급률이 높은데다 아직 친환경 자동차에 대한 공식 규제가 마련되지 않은 상황이다.

■ 토요타의 전동화 차량 확대..하이브리드에서 플러그인 하이브리드, 전기차 및 연료전지까지

일본 언론에서는 ‘전동화 = EV(전기 자동차)’로 해석해야 한다는 보도가 나오면서 일본 자동차 업계가 떠들썩했다. 이에 대해, 토요타의 도요다 아키오 사장은 일본자동차공업회 회장 입장에서 눈길을 끌 만한 의견을 냈다. 전동화 자동차에는 하이브리드(HEV), 플러그인 하이브리드(PHEV), 연료전지차(FCEV)의 다양한 종류가 있다는 점을 유독 강조하면서 보다 정확한 보도를 해줄 것을 요구했다.

도요다 아키오 일본자동차공업협회 회장

토요타는 ‘국가 및 지역별 사회 정세와 사회 인프라'를 염두에 두고, 지역별 전동화 전략을 추진해왔다. 특히 일본은 하이브리드 보급률이 높은 게 특징이다. 토요타는 하이브리드에서 플러그인 하이브리드로, 그 다음 단계는 전기차 및 연료전지차라는 전동화 자동차의 확대 방안 청사진을 그려왔다.

일본 전체 차량등록 대수의 절반을 차지하고 있는 토요타의 이러한 전략이 다른 일본 자동차 기업의 사업전략에 영향을 미치는 것은 당연하다. 또 전동화 차량의 연구개발은 거액의 투자를 필요로 하기 때문에 토요타는 자회사인 다이하쓰는 물론 마쯔다, 스바루, 스즈키와 전동화 사업에서 기술제휴를 맺고 있다. 따라서 일본 자동차 기업은 전체적으로 순수 전기차에 대해서는 소극적인 움직임을 보일 것으로 예상된다.

■ 일본 기업 및 전문가, 유럽에서 당분간 하이브리드가 주력일 것으로 예측

정부 보조금이 없는데도 유럽에서 하이브리드 자동차(HEV) 점유율이 계속 늘어난다. 2019년 연간 4.8%였던 것이, 2020년 1~3월에는 9.4%, 4~6월에는 9.6%로, 그리고 7~9월에는 12.4 %로 성장세가 이어졌다.

영국 ‘PA 컨설팅 리포트’에 따르면, 2021년 유럽 CO2 배출량 규제를 대체로 만족시키는 회사는 하이브리드의 비율이 높은 토요타 뿐이다. 유럽 최대의 자동차 기업인 폭스바겐은 전기차와 하이브리드의 비율이 10%에 그쳐 약 45억 400만 유로(약 6조 546억 원)의 벌금을 낼 것으로 예상된다. 즉 지금까지는 소량 판매에 그친 전기차나 플러그인 하이브리드 만으로는 환경 규제 달성이 미흡하다는 것이다. 따라서 일본 내 전문가도 유럽에서 하이브리드 수요가 반등할 것으로 내다보고 있다.

토요타를 필두로 한 일본 자동차기업이 전기차 개발에 적극적이지 않다는 인상을 주는 것은 하이브리드 매출 전망에 대한 자신감이 크다. 이외에 일본 정부가 전기차 생산 및 판매 의무화 규정을 마련하지 않은 것도 한 요인이다. 하이브리드 보급률(경차 제외)이 40%에 육박하는 높은 일본에서는 전기차 구매의사를 가진 소비자 수가 상대적으로 적은 편이다. 전기차 수요와 공급의 균형이 언밸런스를 이루는 셈이다.

이러한 상황 속에서 작년 말 일본 정부가 '2050년 탄소중립 사회' 실현을 위한 ‘그린 성장전략’을 내놓았다. ‘그린 성장전략’을 토대로 일본에서도 전기차 판매 대수 의무화가 제도화될 경우 토요타를 비롯한 일본 자동차 업체의 전략 수정이 불가피할 것으로 보인다.

조희정 에디터 carguy@carguy.kr

 


관련기사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