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 컨설팅 업체 알릭스 파트너스는 "앞으로 6년 후인 2030년에는 글로벌 자동차 시장의 33%는 중국산이 될 것"이라고 전망해 충격을 주고 있다. 포브스와 CNBC 등은 알릭스 파트너스의 글로벌 자동차 전망 보고서를 인용해 “올해 글로벌 중국차 점유율이 21%에 이르고 2030년에는 여기서 12%포인트 증가할 것”이라고 보도했다.
이러한 예측을 공개한 알릭스 파트너스는 “앞으로 중국 자동차 성장의 대다수는 해외 시장에서 나올 것”이라며 “중국산 수출차 판매가 올해 300만대에서 2030년 3배 수준인 900만대로 늘어날 것”이라고 설명했다.
보고서에 따르면 중국 자동차가 전 세계 시장에서 성장하면서 자동차 안전 기준이 더욱 강화되고 북미 및 유럽, 일본에서는 성장이 더딜 것으로 예측했다. 올해 북미에서는 중국차 점유율이 1~3% 수준에 그치고 한국과 일본에서 점유율은 1% 미만으로 미미한 성장을 전망했다.
상대적으로 중국차 점유율은 아프리카와 중남미 시장에서 급증할 것으로 분석했다. 유럽 시장 점유율 (6%→12%), 중남미 시장 점유율(7% →28%), 중동 및 아프리카 점유율(8% →39%), 남아시아 및 동남아시아 점유율(3% →31%), 러시아(33% →69%) 등으로 글로벌 시장의 점유율 급증을 예상했다.
더불어 알릭스 파트너스는 급부상한 중국 브랜드들의 성장 배경으로 "신차 개발 속도와 저렴한 비용"을 꼽았다. 기존 자동차 제조사의 신차 개발 기간에 비하면 절반 수준인 평균 20개월 밖에 소요되지 않고 생산 비용 또한 기존 글로벌 제조사보다 훨씬 저렴한 35% 수준이라고 알릭스 파트너스는 설명했다.
알릭스 파트너스의 자동차 부문 마크 웨이크필드 글로벌 리더는 “전통적인 자동차 기업들이 중국차와 경쟁하기 위해서는 개발 과정과 신차 개발 속도를 재고할 필요가 있다”고 지적했다.
이재웅 에디터 jw.lee@carguy.kr
- 폴스타3 고객 인도 시작..롱레인지 싱글모터 출시
- 폭스바겐, 자금난 리비안에 50억달러 투자..SW개발 난항 때문
- 랜드로버, 레인지로버 스포츠 SV 셀레스티얼 컬렉션 출시
- PHEV 장착한 BMW 풀체인지 M5..효율좋은 패밀리카 변신
- 가성비 최강 3천만원대 수입차 폭스바겐 제타 부분변경 공개
- 샤오미, 페라리 푸로산게 닮은 SUV 개발..품질 개선하나
- BMW, 라인업 개편 6시리즈 부활..XM 단종할까
- 기아, 2024년 지속가능경영 보고서 MOVE 발간
- 현대차, 세종시에 셔클 플랫폼 공공교통 서비스 ‘이응’ 개시
- 현대차 인도네시아생산법인 해외 가동률 1위..아세안 공략 본격화
- 中 전기차, 미국·EU 관세 올렸더니 글로벌 시장서 승승장구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