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 20여년 사이 수입 승용차 시장이 세단에서 SUV와 같은 RV(레저용 차량) 중심으로, 휘발유나 디젤 같은 내연 기관차에서 하이브리드와 전기차를 중심으로 한 친환경자동차로 재편된 것으로 분석됐다.
한국수입자동차협회(이하 KAIDA)는 이 같은 내용을 포함해 국토교통부 등록기준 통계집계가 시작된 2003년과 2025년을 비교하여 수입자동차 시장의 다양한 성장과 변화를 분석한 결과를 발표했다.
수입차 시장의 변화는 다양성(Diversity), 대중화(Popularization), 친환경(Eco-friendly), 차별성(Differentiation) 4가지 키워드로 요약된다.
먼저 다양성 키워드는 국내에 판매되는 수입 승용차의 브랜드와 모델 수, 차종 등에서 확인할 수 있다. 2003년에서 2025년 사이 국내에 판매하는 수입 승용차 브랜드는 16개에서 약 1.6배 늘어난 26개로, 판매 모델 수 역시 170여 종에서 520여 종 이상으로 약 3배 증가했다. 국산 승용차 모델수가 120여종인 점을 고려할 때 수입차의 다양성이 소비자들의 선택지를 크게 확대시켰다.
차종 변화를 살펴보면 2003년 세단이 1만 6,171대로 해당 연도 전체 신규 등록 수입 승용차 1만 9,481대의 83.0%에 달했으나, 2025년 8월 기준으로는 42.8%로 크게 줄었다. 반면, 2003년 17.0%였던 RV는 금년 들어 57.2%로 증가하며 과반수를 돌파했다.
대중화는 지역별 등록 비중과 구매 유형에서 드러난다. 서울 지역의 등록 비중은 2003년 54.5%에서 2025년 14.5%로 크게 줄어든 반면 6배 이상 증가한 인천을 비롯해 지역 등록 비중은 일제히 확대됐다. 구매유형별로는 2003년 법인 등록이 56.3%, 개인 명의로 등록된 비중이 43.7%였으나, 2025년 8월 기준으로는 개인 등록 63.9%, 법인 등록 36.1%로 대조적인 양상을 보였다.
친환경 키워드는 2000cc 이하 저배기량 차량과 전기차의 확대 흐름에서 읽을 수 있다. 배기량 변화를 살펴보면 2,000cc 미만 차량 비중은 2003년 18.7%에서 2025년 8월 말 현재 42.5%로 크게 확대된 반면, 같은 기간 2000~3000cc 비중은 42.9%에서 25.5%, 3000~4000cc 23.2%에서 2.6%, 4000cc 이상은 15.3%에서 1.6%로 축소됐다.
연료 통계에서도 유사한 흐름을 확인할 수 있다. 2003년에는 가솔린이 97.8%를 차지하던 수입 승용차 시장이 2025년에는 하이브리드(57.5%)와 전기차(27.8%)로 전체 신규 등록 차량의 85.3%를 차지하며 수입 승용차 시장이 완전히 재편됐다.
이러한 추세를 반영하듯 현재 국내에서 판매 중인 수입 승용차 친환경차 라인업은 2025년 8월 기준 22개 브랜드, 320여개 모델에 달한다. 친환경차는 하이브리드(MHEV, FHEV), 플러그 인 하이브리드, 전기차 등이 해당된다.
수입 승용차 브랜드들은 컨버터블이나 밴, 픽업 같이 국내 브랜드에서는 만나기 힘들었던 다양한 차종을 지속 출시하며 국내 자동차 시장 내 차별화를 주도했다. 실제로 2025년 8월 말 기준 컨버터블, 밴, 픽업 차종의 월 평균 신규 등록 대수는 2003년 대비 각각 약 7배, 약 12배, 5배로 늘었다. 더불어 자동차관련 선진기술의 도입, 소개, 보급과 다양한 시설 투자, 고객만족을 위한 프로그램 등도 국내 자동차산업 활성화에 큰 역할을 한 것으로 평가받고 있다.
동시에 수입 승용차 점유율이 2003년 1.9%에서 지난 2024년 기준 18.3%로 상승하고 국내 총등록대수 비중도 13.3%로 증가하면서 국내 자동차 시장 내 수입차의 역할과 기대도 증대하고 있다. 연간 신규 등록 대수는 2003년 1만 9,481대에서 지난 2024년 26만 3,288대로 13배 이상 늘었으며, 올해 들어서도 8월까지 192,514대를 기록하며 전년 동기대비 13.3% 증가세를 보이고 있다.
이와 관련 KAIDA 정윤영 부회장은 “수입자동차는 다양한 측면에서 소비자 선택의 기회를 확대하고 편익과 즐거움을 제공하며 국내 자동차 시장의 기술 및 친환경 트렌드를 선도해왔다”면서, “앞으로도 소비자 중심의 시장 성장과 안전기술, 자동차 문화 발전에 긍정적인 자극제 역할을 해 나가겠다”고 말했다.
김태진 에디터 tj.kim@carguy.kr
- 2억5천만원 BYD 양왕 U8L 정체는..1180마력 넘는 대형 SUV
- BMW 모토라드, ‘GS 트로피 2026’ 한국 대표팀 선발전 개최
- 고성능 유모차라고? 애스턴마틴, egg 협업한 럭셔리 유모차 공개
- 기아 PV5 택시 나왔다..올인원 디스플레이 2 출시
- 혼다 2천만원대 경형 EV N-ONE e: 출시..295km 주행거리에 쾌적 공간
- 폭스바겐 대형 SUV 아틀라스 함께 한 캠핑..공간과 견인력 여유롭네
- 이네오스 그레나디어, 선일모터스 딜러 선정..광주·호남 네트워크 확장
- KGM, ‘무쏘 EV’ 연판매 목표 6천 대 6개월 만에 달성
- 현대차·기아, 추석 특별 무상점검 서비스 실시
- MINI 코리아, 전시장서 ‘MINI 고-카트 데이’ 시승 행사 개최
- 혼다 클래식 네이키드 오토바이 GB350, GB350S 출시..600만원대 가성비
- 제네시스 마그마 레이싱, 유러피언 르망 시리즈 5전 LMP2 우승
- 샤오미코리아, ‘Xiaomi 스토어’ 2, 3호점 오픈..한가위 빅세일
- KGM, 내연기관 중형 픽업트럭 내년 출시..포드 레인저 대항마 눈길
- 불스원 루나틱폴리시, 고성능 고체왁스 ‘쉬팅스타’ 출시
- KGM, 독일서 무쏘 EV 및 토레스 HEV 론칭..글로벌 판매 확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