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국 공안부가 자동차에 대한 새로운 국가 안전 기준을 내놔 눈길을 끌고 있다. 정지상태에서 시속 100km까지 가속하는 소위 ‘제로백’을 5초 이내로 제안하는 방안이다.
중국은 세계 1위 전기차 국가다. 전기차는 가속 성능이 내연기관보다 유리해 대중차 브랜드 차량도 제로백 4, 5초는 손쉽게 기록할 수 있다.
이처럼 전기차 보급이 늘고 가속 성능이 발전하면서 떠오른 골치 아픈 문제가 과속에 따른 교통 사고 증가다.
중국 공안부가 내놓은 "자동차 운행 안전 기술 조건"이라는 제목의 규정 초안은 승용차가 0km/h에서 100km/h까지 가속하는 데 최소 5초가 소요되는 설정을 기본으로 해야 한다고 명시한다. 이 조치는 과도한 가속 성능과 관련된 안전 위험을 줄이는 것이 목표다.
전기 및 플러그인 하이브리드 차량의 경우 여러 가지 안전 관련 조항이 포함되어 있다. 이러한 차량에는 차량이 정차 중이거나 정체 구간에서 저속 주행을 할 때 페달 오작동을 감지하고 이럴 경우 출력을 제한한다.
아울러 운전자에게 명확한 시청각 경고를 제공해 의도치 않은 급가속을 방지하는 페달 오작동 방지 장치를 장착해야 한다.
자동차 운행 안전을 위한 기술 조건 초안에는 또한 순수 전기 자동차와 플러그인 하이브리드 자동차가 특정 상황에서 자동으로 전원 회로를 차단할 수 있어야 한다고 규정한다.
여기에는 차량 속도가 종방향 또는 횡방향으로 150밀리초 이내에 25km/h 이상 변하는 경우 또는 에어백과 같은 비가역적인 제동 장치가 작동하는 경우가 포함된다.
제안서에는 배터리 안전 기능이 중점적으로 다루어진다. 전기차는 배터리 상태를 모니터링하고 배터리 셀의 이상 상태를 자동으로 감지하고 기록한 뒤 조기에 경고해야 한다. 과열 문제가 감지될 경우에도 명확한 시청각 신호를 통해 탑승자에게 경고해야 한다.
동력 배터리에는 방향성 압력 방출 장치와 압력 밸런싱 장치를 장착해야 한다. 탑승객에게 위험을 초래하지 않도록 설계된 압력 방출 통로가 있어야 한다는 의미다.
6m 이상의 순수 전기 버스 및 플러그인 하이브리드 버스는 배터리 경보 후 최소 5분 동안 배터리 구획이 발화 또는 폭발하지 않아야 하는 등 승객이 대피할 충분한 시간을 확보해야 한다.
이번 초안은 운전자 보조 시스템(DAS)에 대해서도 다루고 있다. 해당 기능을 탑재한 차량은 생체 인식 또는 계정 로그인을 통해 운전자가 적절한 교육을 이수했는지 확인하여 운행을 계속 허용해야 한다.
복합적인 DAS 시스템의 경우, 시속 10km 이상의 속도에서 작동할 때 차량은 핸드오프 감지 및 시선 모니터링이라는 두 가지 이상의 방법을 사용해 운전자의 운전 참여를 지속적으로 모니터링해야 한다.
주의가 산만해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차량 속도가 10km/h를 초과할 경우 대시보드 디스플레이의 엔터테인먼트 비디오 재생 및 게임 기능도 꺼야 한다.
최근 사고를 유발하는 도어 안전을 더욱 강화한다. 승용차는 각 탑승자가 최소 두 개의 다른 문을 통해 하차할 수 있어야 한다. 모든 도어(트렁크 도어 제외)에는 내외부 모두 기계식 해제 핸들을 장착이 의무다.
전자식 도어 잠금 시스템이 장착된 차량의 경우, 에어백이 전개되거나 배터리 과열 사고가 발생하면 비충격 측면 도어가 자동으로 잠금 해제가 돼야 한다.
추가 규정에는 윈도 썬팅 규제도 포함되어 있다. 거울 반사형 창문 필름을 금지하고 운전자 시야 영역이 최소 70%의 가시광선 투과율을 유지하도록 요구한다.
비상구 창문에는 두께 5mm 이하의 강화 유리를 사용해야 한다. 비상시 쉽게 파손될 수 있도록 차광 필름을 부착할 수 없다. 이번 초안은 현재 국가 표준 개정 과정의 일환으로 공개 협의 단계에 있다.
이 새로운 규정을 자세히 보면 제로백 가속 시간을 5초 이내로 제한하는 것이 완전히 속도 제한과는 다소 거리가 멀리다. 차량 시동 시 기본 가속 시간이 5초를 초과할 수 없도록 규정하는 것이다. 주행 중에는 사용자가 추가 조작을 통해 더 빠른 가속 시간도 달성할 수 있다.
일반 도로에서 0-100km/h 가속 5초면 충분히 빠른 속도다. 최근 몇 년 동안 중국에서 테슬라, 샤오미, 지커 같은 일부 전기차 전용 브랜드는 빠른 가속 성능을 마케팅에 활용해 성공을 거두었다. 이번 새로운 규정이 시행되면 일부 브랜드는 더 이상 이를 마케팅 전략으로 활용할 수 없게 될 수도 있다.
김태진 에디터 tj.kim@carguy.kr샤
- 아우디, 포뮬러 1 머신 R26 디자인 아이덴티티 공개
- 푸조, 주행의 즐거움을 정의하다..폴리곤 콘셉트 공개
- 아마존, BMW에 차세대 알렉사 커스텀 어시스턴트 지원…차량용 음성 비서 혁신
- 어떤 차길래 3분만에 완판..V60 크로스컨트리 포레스트 레이크 에디션
- 르노 그랑 콜레오스 4차 OTA 업데이트..공조장치 위젯 추가
- 강력한 성능과 첨단 사양! BMW 뉴 X3 30 xDrive M 스포츠 패키지 프로 출시
- 완전변경 9세대 토요타 하이럭스 픽업트럭 전기차도 추가..국내 출시 임박?
- 기아 통 큰 투자..화성에 25만대 규모 PBV 생산 공장 구축
- 제네시스 G80, GV80 프로모션..200만원 할인
- 메르세데스-벤츠, 2026년부터 2년간 40개 신차 쏟아낸다..
- 역시 벤츠! 첫 EV 플랫폼 GLC 혁신 가득.. 삼각별 라이트에 주행거리 600km 이상
- 볼보코리아, 스웨덴대사관과 함께 ‘볼보 장난감 병원’ 행사 진행
- 한국타이어, SK스피드메이트와 전용 상품 ‘로드메이트 S’ 공급 협약 체결
- 폴스타, 국내 첫 고객 로열티 행사 ‘폴스타 데이 2025’ 성료
- BMW∙MINI 겨울용 오리지널 휠&타이어 세트 할인 캠페인 진행
- 르노코리아 코리아세일페스타 11월말까지 연장..2026 그랑 콜레오스 구매 기회
- 자동차연구원 정선경 본부장, 2026 한국자동차공학회 신임회장 선출
- 폭스바겐그룹과 리비안 합작사, 출범 1년 만에 성과 가시화
- 볼보자동차코리아, ‘울산 서비스센터’ 확장 이전
- BMW 그룹 코리아, ‘2025 BMW 그룹 협력사의 날’ 행사 개최
- 반고체배터리 이건 뭐지! 최초 양산 MG4 안신 에디션 광저우오토쇼서 데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