페라리가 운전석의 위치를 바꿀 수 있는 특허를 지난해 7월 미국 특허청에 제출했다. 이 특허의 핵심은 운전자의 시트, 스티어링 휠, 페달을 슬라이딩 레일에 장착해 차량의 중앙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는 것.
과거에도 차체 중앙에 운전석을 만들려는 시도는 여러번 있었다. 대표적으로 멕라렌 F1은 중앙에 1개 좌우에 1개씩 보조시트를 장착해 3인승 슈퍼카로 개발됐다. 차체 중앙에 운전자가 위치하면 좌우 무게 배분을 안정적으로 만들수 있어 운동성능 향상에도 도움을 주는데다 측면 충돌 등 안전성이 높아진다. 레이스카의 경우 에어로 다이나믹을 위한 에어터널, 냉각 계통의 배치 등 설계 자유도가 높아진다.
하지만 단점도 있다. 타고 내릴때 불편하다는 것이다. 이런 점을 보완해 페라리는 기존 탑승 위치를 그대로 유지하면서 슬라이딩 레일로 중앙으로 이동시키는 기능을 개발한 것이다. 이를 활용하기 위해서는 모든 조작 계통이 전자식 바이 와이어 시스템이 적용되어야 한다.
현재 브레이크 페달, 악셀 페달의 경우 바이 와이어 기술이 상당부분 안정화 되어 있다. 하지만 스티어링은 오작동 시 안전 위험도가 매우 크기 때문에 적극적으로 도입되지 못했다. 인피니티 Q50과 토요타 BZ4X에 실험적으로 적용되었다가 최근 테슬라 사이버트럭에 본격적으로 장착됐다.
스티어 바이 와이어를 적용하면 실시간으로 스티어링 조향 기어비를 변경할 수 있고 스티어링의 무게감을 쉽게 개인에 맞게 커스텀 할수 있다. 완전한 자율주행을 위해서도 꼭 필요한 기술로 각광을 받고 있다.
페라리의 경우 레이스카 혹은 트랙 전용 스페셜 모델에 이러한 기술을 적용할 가능성이 높다. 아직까지는 특허 단계라 언제 실용화 될지는 미지수다.
김태현 에디터 th.kim@carguy.kr
- [예상도]현대차 픽업 '아이오닉 T10' 디자인은...타스만 형제?
- 토요타, 코롤라 크로스 부분변경 허니콤 그릴 멋지네
- 프랑스, SUV와 무거운 전기차 주차료 3배 부과..환경 문제 커
- 르노 하이브리드 준중형 SUV 심비오즈 티저 공개...국내 출시 가능성
- BMW, 비운의 하이브리드 슈퍼카 i16 프로젝트...부활 가능성은?
- 애스턴마틴, 신형 밴티지 공개..마지막 V8 4.0 엔진일까
- 포드, 전기차 수요 감소 및 중국산과 경쟁할 저가형 EV 플랫폼 개발
- 미국서 가장 저렴한 SUV 톱7..4개 모델이 한국산
- 스텔란티스코리아, ‘2023 스텔란티스 어워드’ 개최
- 스텔란티스 23년 매출 265조원, 순이익 26조원 기록
- 테슬라 사이버트럭, 출고 이틀만에 스테인리스 패널 부식
- 기아 출신 재규어랜드로버 총괄 디자이너 '마시모 프리셀라'..아우디 이적
- 알파로메오, 고성능 라인업 정리...콰트로폴리오 북미서 4월 단종
- KGM 토레스 4월께 아이신 8단 자동 도입..연비 잡고 주행성능 개선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