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텔란티스가 16일 2023년 실적을 발표했다. 매출은 전년 대비 6% 상승한 1,895억 유로(약 265조원), 순이익은 전년 대비 11% 증가한 186억 유로(약 26조원)를 기록했다.
산업 잉여현금흐름(Industrial Free Cash Flows)은 19% 개선된 129억 유로로 크게 성장했다. 뿐만 아니라 글로벌 순수전기차(BEV) 판매량은 21%, 저배출차량(LEV) 판매량은 27% 성장하며 탄소 중립 전략인 ‘데어포워드 2030(Dare Forward 2030)’에 발맞춘 전동화 전략이 순항 중이라고 설명했다.
스텔란티스는 전년 대비 5% 성장한 유럽 지역 외에도 타 지역에서 고른 성장을 보였다. 특히 북미 지역에서는 플러그인 하이브리드(PHEV) 시장 1위, 저배출차량(LEV) 시장 2위를 차지했다. 뿐만 아니라, 제3의 엔진’으로 불리는 중동 및 아프리카, 남미, 중국, 인도 및 아시아 태평양 지역(IAP)의 순매출이 전년 대비 13% 상승했다.
스텔란티스는 2038년까지 탄소 중립을 달성하겠다는 계획 아래 투자를 이어가고 있다. 지난해 산업 현장 및 사유지에서 발생하는 탄소 배출량을 2021년 대비 20% 감소시켰으며, 출고 후 3달 이내 차량 결함률을 2021년 대비 40% 이상 낮췄다. 또한 이탈리아에 첫 번째 순환경제 허브를 열어 부품 재생 및 재활용에 집중하는 등 순환경제 사업을 전년 대비 18% 성장시켰다.
전동화 전략에도 박차를 가하고 있다. 스텔란티스의 첫 번째 순수전기차 전용 플랫폼 ‘STLA 미디엄’이 최초로 적용된 푸조 E-3008 SUV는 동급 최장 주행거리(700km)를 자랑하며, 한 번의 충전으로 800km 주행 가능한 두 번째 플랫폼 ‘STLA 라지’ 적용 모델은 2024년 출시를 앞두고 있다.
스텔란티스는 원활한 배터리 공급을 위해 중국 배터리 제조사 ‘CATL’와 파트너십을 체결했으며, 신속한 배터리 교환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 미국 배터리 교체 스타트업 ‘앰플(Ample)’과도 손잡았다. 대만 전자제품 제조업체 ‘폭스콘(Foxconn)’과는 차량용 반도체 전문기업 ‘실리콘오토(SiliconAuto)’를 합작 설립해 반도체 공급망 안정화를 꾀했다. 더불어 6개의 스타트업에 투자를 집행하고 49개의 스타트업과 계약을 체결했다.
카를로스 타바레스 스텔란티스 CEO는 “스텔란티스 그룹 설립 3년만에 불안정한 시장 상황 속에서도 강력한 실행력을 바탕으로 비약적인 성장을 달성했고, 2023년 성과를 통해 글로벌 선도기업으로 도약했음을 입증했다”며 “유연한 기술력과 제품 로드맵을 기반으로 다양한 불확실성 속 2024년을 대비하고 데어 포워드 2030 전략 달성을 위해 지속적으로 노력할 계획”이라고 전했다.
김태진 에디터 tj.kim@carguy.kr
- 스텔란티스코리아, ‘2023 스텔란티스 어워드’ 개최
- 60주년 포드 머스탱 완벽 변신..전자식 드리프트 브레이크 뭘까
- 테슬라 모델Y 부분변경 올해 출시 안한다..기존 모델 인기
- 중앙대 연구팀, 급속충전 안전한 리튬이온 배터리 개발
- 페라리, 운전석 위치 중앙으로 이동 가능특허 출원..핸들 위치 맘대로
- 가장 강력한 핫해치! 메르세데스 AMG A45 S 공개..그린 헬 컬러 눈길
- 기아 출신 재규어랜드로버 총괄 디자이너 '마시모 프리셀라'..아우디 이적
- 알파로메오, 고성능 라인업 정리...콰트로폴리오 북미서 4월 단종
- KGM 토레스 4월께 아이신 8단 자동 도입..연비 잡고 주행성능 개선
- 토레스 EV 픽업트럭 후륜모터 장착..사륜구동으로 나온다
- 하이브리드 23년 신차 판매 22%..중고차 시장도 휩쓴다
- 스텔란티스, EV 진동시스템 특허..내연기관 감성 살린다
- 자가토, 9억원대 스포츠카 AGTZ 트윈테일 공개…탈착식 리어 눈길
- 키메라, 레스트모드 스포츠카 에보38 공개..사륜구동 추가
- 거대 자동차그룹 스텔란티스 적신호..산하 브랜드 매각 가능성
- 아이폰 생산 폭스콘, EV도 만든다..660km 미니밴 공개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