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4일 서울 코엑스에서 개막하는 제37회 세계 전기자동차 학술대회 및 전시회(EVS37)에서 현대기아차가 주요 PBV(목적기반모빌리티) 혁신 기술과 차세대 기술을 장착한 업그레이드 라인업을 선보일 예정이다.
또 KG모빌리티는 국내 유일의 SUV 전기차인 토레스EVX 드레스업으로 레저용과 공간 활용성을 강조하는 화물밴 등 3종을 공개한다. 이와 함께 현대모비스는 세계 최대 가전·정보기술(IT) 박람회 ‘CES 2024’를 사로잡았던 실증차량 ‘모비온’을 EVS37에서 처음 선보인다.
선우명호 EVS37 대회장 겸 세계전기자동차협회장은 EVS37 개막에 앞서 17일 서울 프레스센터에서 기자간담회를 갖고 이같이 밝혔다. 선우 회장은 “‘세계 전기차의 올림픽’으로 불리는 EVS의 서울 대회가 가장 혁신적인 전기차 기술력의 경쟁 무대가 될 전망”이라며 “전기차뿐만 아니라 배터리시장을 선도하는 여러 국내외 기업이 대거 참석해 고도의 기술력을 뽐낼 것”이라고 말했다.
그는 “글로벌 톱6 배터리 제조사에 한국의 3개 사(LG에너지솔루션, 삼성SDI, SK온), 그리고 2024년 글로벌 전기차 시장점유율 톱3 진입이 확실시되는 현대차그룹의 노력이 축적돼 이미 대한민국은 전기차의 ‘메카’로 부상했다”며 “EVS37 대회는 세계 전기차에서 한국의 위상을 재확인하는 자리가 될 것”이라고 밝혔다.
이어 "BYD 같은 중국 전기차 업체의 경쟁력이 세계적인 수준"이라며 "앞으로 중국 전기차의 거센 도전에 직면할 것"이라고 전망했다.
이번 EVS37 대회가 서울에서 열리는 만큼 전시에는 한국(63%)기업들이 가장 많이 참여하며, 유럽(21%), 중국 및 아시아(12%) 그리고 미주(4%) 등 글로벌 기업 160개 사가 550개의 부스를 꾸리게 된다. 이번 EVS37은 이미 국내에서 일반인 참관 신청자가 1만 명을 넘어서 역대 최대 규모로 치러질 전망이다.
김철수 호남대 교수(전 현대모비스 부사장)는 "현대차그룹이 세계 3위 글로벌 자동차업체로 발돋움했다"며 "테슬라는 자동차를 제조한 역사가 짧은게 단점이라 한국의 배터리 인프라와 현대차그룹의 기술이 합쳐지면 세계 1위도 가능하다"고 강조했다.
한편 EVS37 대회에는 30여 개국에서 제출된 논문 500편과 40여 개국 1,500명의 석학·전문가가 참여하는 학술대회가 예정돼 있다. 한동희 현대차 전무, 박일평 LG사이언스파크 사장의 기조강연과 함께 EVS37 학술대회의 특별 세션 ‘전기차 테크 서밋(EV Tech Summit)’이 열린다.
EVS37는 24일부터 사흘간 서울 코엑스에서 진행되며, 주요 프로그램 등 관련한 더 자세한 내용은 EVS37 홈페이지(evs37korea.org)에서 확인할 수 있다.
김태진 에디터 tj.kim@carguy.kr
- 아이오닉 6, 獨 전기차 전문지 장거리 주행 평가서 최우수 호평
- 현대차, ‘지금은 충전중’ 여행 지원 캠페인 운영
- 중국만 팔기 아깝네..2000km 주행가능 하브 BYD 중형세단 공개
- EV 꼴찌 혼다 이제야 정신차렸다..전기차 YE 시리즈 론칭
- 시트로엥 소형 SUV C3 에어크로스..7인승 눈길
- BMW X3, 차세대부터 순수 엔진은 단종..하이브리드 기본 장착
- 팰리세이드 대항마 딱이네..마쓰다 준대형 SUV CX-80 18일 공개
- 아이오닉 9 스파이샷 국내서 포착..EV9보다 더 크다
- BYD 씰, 환경부 인증 곧 신청..5천만원 초반이 승부수
- [분석] 현대차 N이 마력 경쟁을 원치 않는 이유..출력은 욕구가 아니다
- [시승기] 찬사속 완벽한 끝맺음..승차감 탄탄해진 아이오닉5 부분변경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