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에서 전직 테슬라 직원이 FSD 베타버전이 장착된 모델3 차량을 타고 빨간불을 무시하고 주행하는 모습을 보여주는 영상을 온라인에 공유해 논란이 일고 있다.
한때 테슬라의 자율주행 시스템 테스트 직원으로 일했던 존 버널은 지난해 캘리포니아에서 FSD 베타의 오작동 영상을 유튜브에 공유한 후 해고됐다. 더 이상 테슬라에서 일하지 않지만 버널은 모델 3를 계속 소유 중이다. 야간에 FSD 시스템을 실험하던 중 동일한 오류가 여러번 발복되는 무서운 오류를 발견했다.
트위터에 공유된 짧은 비디오에서 존 버널은 모델3가 빨간불을 인식하지 못하는 현상이 재현되는 것을 확인했다. 그가 교차로에 다가서자 시스템은 빨간불을 인식하고 잠시 제동을 하는 것처럼 보였지만 그대로 교차로를 통과하여 가속을 시작한다.
영상속 인포테인먼트 화면을 보면 고속도로를 주행 중인 차량에 신호를 보내는 데 사용되는 두 개의 녹색 표시등뿐만 아니라 적색 표시등도 인식했음을 알 수 있다.
화면에는 '전면 자율주행 기능이 저하될 수 있습니다'라는 경고 메시지도 표시되었다. 이는 FSD 베타가 장착된 테슬라 모델에서 꽤 일반적인 문제로 보인다. 날씨가 좋지 않거나 카메라 렌즈 중 하나에 먼지가 묻었을 때 발생할 수 있다.
버널은 카메라를 청소하고 메시지가 사라졌지만 이후 테스트에서 여전히 경고등이 발생했다고 주장했다.
후속 트윗에서 버널은 동영상을 온라인에 올린 후 미국 법무부로부터 연락을 받았다고 전했다. 최근 미국에서는 테슬라의 팬텀브레이킹(비정상적 급제동)으로 인해 발생한 교통사고가 빈번하다보니 정부는 작년부터 테슬라의 자율주행 시스템을 조사하고 있다. 이런 오류를 알고도 묵인했다면 테슬라에 여러 혐의를 적용할 수 있다.
한편 테슬라는 23년 2분기 어닝콜에서 기존 고객이 신규차량을 구입했을때 1회에 한해 FSD를 이전해주겠다고 발표했다. 타사에 FSD를 라이센싱해 판매하는 것도 고려중이라고 밝혔다.
김태현 에디터 th.kim@carguy.kr
- 쉐보레, 8월 프로모션 진행..최대 691만원 지원
- 이베코, 500km 주행가능한 대형 전기 및 수소전기 트럭 판매계획 발표
- 브리지스톤코리아, 승용 고객 대상 운행안심보장 프로그램 실시
- 5세대 싼타페 디자인 논란...후미등 위치가 낮아진 이유는
- [해외반응] 제네시스 GV70 EV..훌륭하지만 충전 경험은 낙제점
- [현장] 뜨거운 감자 '온라인 직판'..수입차 1위 벤츠코리아 선택은
- KG 모빌리티, 주행가능거리 420km...토레스 EVX 9월 출시 한다
- [최초시승] 당분간 경쟁자가 없다..미국 1위 대형 SUV 토요타 하이랜더
- 폭스바겐 미니밴 ID.버즈, 1억원대 가격이 관건...EV9 성공이 중요
- 테슬라 초고속 충전 메가차저..수퍼차저와 다른 수냉 커넥터 눈길
- 스카니아코리아 ‘순정부품 2년 보증 프로그램’ 출시
- 르노코리아 7월 4835대 판매…XM3 수출 20만대 돌파
- 중국 배터리업체 한국에 5조원 투자..한미 FTA 활용해 IRA 우회 전략
- 3천만원대 기아 EV4 테스트카 포착...K3 대체하나
- 美NHTSA, 테슬라 일부 차종서 핸들 잠김, 오작동으로 조사 착수
- 레트로와 오프로더의 환상 조합...토요타 랜드크루저 프라도 250 풀체인지
- 차세대 토요타 GR86에 3기통 터보?..더 강력한 하이브리드 가능성도
- 한국 대표 SUV, 싼타페 디자인 변천사..10일 공개될 싼타페 5세대의 미래는
- 테슬라 자율주행 AI 마지막 퍼즐 맞춘다..레벨4 선보이나
- 테슬라 중국서 신형 모델3 생산돌입..주행거리 늘고 더 싸진다
- 곰 인형을 운전자로 착각하는 테슬라..카메라 모니터링 미흡
- 테슬라 주행거리 계산 방법 남달랐다..주행환경 반영 안해
- 테슬라, 中서 모델3 부분변경 공개..화려해진 실내 눈길
- 테슬라, FSD v12 직원 배포 개시..자율주행 레벨3 구현
- 테슬라 FSD v12.4.2 업데이트..완전자율주행 진짜 임박?
- 테슬라 FSD 자율주행 테스트..'특정인에 최적화했다' 의혹 제기
